붕어 낚시를 하다 보면 미끼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미끼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바늘에 미끼를 잘 꿰는 것도 미끼 종류 못지 않게 중요하다.
바늘에 미끼를 다는 데에도 계절, 수온, 대상어 종류, 잡어 성화의 여부 등에 따라 손압과 물성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추후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므로,,
오늘은 일단 미끼 운용 중에서 가장 많이 궁금해 하는 '미끼를 달 때 바늘 끝이 노출되어도 상관없는지?'에 대한 부분을 다루기로 한다.
바늘에 미끼를 다는 법
바늘에 미끼를 잘 꿰는 특별한 원칙이나 비법은 없다.
그냥 자신의 취향대로 편하게 달면 된다.
단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념하면 된다.
- 미끼가 너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 떡밥 미끼의 경우 잡어의 유무, 수심 등을 고려해 반죽한다.
- 떡밥의 경우 물 속에서 얼마만큼 버티게 할 것인지 결정하여 미끼를 꿸 때 손압의 횟수를 조절한다.
- 새우, 참붕어 같은 생미끼는 바늘 끝 방향이 머리 쪽을 향하게 꿴다. (붕어의 사냥 습성 때문)
- 옥수수 역시 어느 방향으로 꿰든 상관없다.
- 지렁이는 환대만 관통하지 않으면 된다.
바늘 끝 노출과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
그렇다면 바늘 끝이 미끼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건 괜찮을까?
이러한 질문이 많은 이유는 아마도 바늘 끝이 나와 있으면 붕어가 이물감을 심하게 느끼거나 시각적으로 위협을 느껴 미끼를 제대로 흡입하지 않기 때문에 조과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것은 지나친 기우이다.
바늘 끝이 미끼를 관통해 빠져나와 있어도 전혀 상관없다.
바늘이 노출되어 있어도 붕어는 미끼를 아무렇지 않게 흡입한다.
잔챙이들조차 바늘을 두려워하지 않고 미끼를 쪼아 댄다.
그렇다면 떡밥 미끼는 왜 바늘을 노출하지 않는 것일까?
그 이유는,,
떡밥은 바늘로 꿰는 것보다 바늘을 감싸듯 다는 것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이지, 별다른 이유는 없다.
게다가 떡밥 미끼를 사용할 때는 작은 바늘을 사용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낚시에는 정답이 없다.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너무 생각을 많이 하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