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벨 채비 수조, 현장 찌맞춤 요령

붕어낚시에서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찌맞춤이다.

붕어낚시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찌를 통해 대상어의 입질을 파악하고 챔질 타이밍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찌와 봉돌의 균형은 붕어낚시에서 어신을 파악하는 근간이며,,
찌맞춤의 방식은 붕어 낚시꾼에게 있어 항상 고민하고, 자신의 주력 채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가장 기본적인 원봉돌(외봉돌) 채비는,,
이제 주로 자연지 대물낚시에서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유료터 양어장 붕어낚시 인구가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응용 채비들이 활성화 되었다.

그중에서도 스위벨 채비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 채비는 2분할 봉돌 채비로서,,
붕어가 미끼를 물었을 때 순간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찌올림을 상대적으로 예민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스위벨 채비의 수조 찌맞춤과 현장에서의 최적화 된 적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일단 스위벨 채비의 기본적인 수조 찌맞춤은 다음과 같다.

  • 케미, 주 봉돌과 스위벨을 달고,
  • 핀크립을 사용할 경우에는 핀크립까지 달고 찌맞춤을 한다.
  • 목줄 교체와 채비 안정성을 위해 바늘은 달지 않는다.
  • 이 상태에서 케미가 전부 노출(케미꽂이 상단) 되도록 오링을 가감하여 맞춘다.

일단 여기까지가 수조 찌맞춤이다.

일학-레저의-스위벨-제품-이미지

예전에는 납봉돌이라 봉돌을 깎으며 찌맞춤을 했지만, 요즘에는 모두 기능성 봉돌을 사용하므로 오링을 가감하여 맞춘다.

낚시터에 도착하여 낚싯대 편성이 끝나면 이제 현장 찌맞춤을 한다.

현장 찌맞춤을 하지 않고, 수조 찌맞춤만으로 낚시를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것은 개인의 경험과 취향이므로 선택 사항이지만, 스위벨 채비를 운용한다면 아무래도 현장 찌맞춤을 권장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현장에서 채비를 투척해 보면,,
수온, 수심, 라인 등의 변수에 의해 수조에서 맞췄을 때보다는 다소 무거운 찌맞춤 상태이기 때문이다.

스위벨 채비 현장 찌맞춤 요령은 다음과 같다.

  • 먼저 수심을 찾는다.
  • 찌 마디가 3목 이상 노출되면 바닥을 찾은 것이다.
  • 이 상태에서 찌를 바늘 채비 방향으로 찌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약 40~60cm 내린다.
  • 오링을 가감하면서 봉돌 무게를 조절한다.
  • 케미 노출가 노출되면 일단 현장 찌맞춤이 된 것이다.
  • 케미 노출 상태는 일부 노출, 수면 일치 등 본인이 원하는 패턴대로 조정한다.
  • 여기서 다시 수심을 찍고, 1~2 마디 정도 내어 놓고 낚시하면 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너무 예민한 채비에 집착하게 되면 스위벨이 바닥에 안착되지 않는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제대로 된 입질을 파악하기 어렵고, 원하는 찌올림을 볼 수도 없기 때문에 너무 가볍게 맞추려고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