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 몸통을 만드는 소재는 매우 다양합니다.
나노(발포우레탄), 발사목, 부들, 갈대, 수수깡, 삼나무, 공작깃, 그리고 오동나무, 심지어 알루미늄까지..
그러나 최근 붕어 낚시 중에서도 올림 바닥 낚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찌 몸통 소재는 아마도 나노폴과 발사목일 겁니다.
인공 소재인 나노폴과 천연 나무 소재인 발사목의 공통점은 둘 다 모두 자중 대비 순부력이 높다는 점입니다.
자중은 찌 그 자체의 무게이고, 부력은 물에서 뜨는 힘을 g으로 표시합니다.
양어장 붕어 낚시에서 선호하는 찌
이전에는 유료터인 양어장에서 발사찌가 가장 많이 쓰였습니다만,,
몇 년 전부터 나노찌가 대중화 되면서 이제는 나노 소재의 찌가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발포우레탄 나노폴을 몸통 소재로 하는 나노찌는,,
- 자중 대비 순부력이 높고,
- 가공이 용이하여 동일 부력에 가까운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 약간의 손상이 있어도 찌 몸통에 침수가 되지 않아 부력 변화가 거의 없고,
- 반발력이 좋아 가볍고 예민한 채비를 선호하는 꾼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내구성이 약한 것이 단점이라서 수초 대물 낚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편입니다.
나노찌 못지 않게 발사목으로 만든 찌 역시 유료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자중 대비 순부력이 높다는 장점은 나노찌와 비슷하면서도 천연 소재이기 때문에 같은 부력으로 표시된 제품이라도 실제 부력은 각각 조금씩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발사찌는 노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긴 하지만,
자연지에서는 아무래도 내구성이 좋은 오동나무 찌가 여전히 가장 많이 쓰입니다.
오동나무 소재의 찌
과거에는 장소를 불문하고 오동나무 찌가 가장 많이 쓰였습니다.
나무 소재의 찌는 거의 다 오동나무 소재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기 때문이죠.
오동나무는,,
- 국내산 수목 중에서 부력이 뛰어나고,
- 내구성도 좋아서 찌 몸통 소재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나무 소재가 아닌 찌 몸통 소재로는,,
- 갈대나 부들, 그리고 수수깡도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명맥만 유지하는 정도여서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 공작새 깃털로 만든 공작찌는 고가이기도 하지만, 전층 내림낚시용 찌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수입산인 발사목이 찌 몸통 소재로 폭 넓게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오동나무는 노지나 수초 대물낚시에서 주로 쓰이고, 유료터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추세가 되었습니다.
양어장에서 오동나무 찌를 사용해도 될까?
그렇다면 오동나무로 만든 찌는 양어장에서 사용하면 안 되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동나무 찌를 양어장에서 사용해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요즘에는 워낙 가볍고 예민한 채비를 추구하다 보니 오동나무 소재는 왠지 상대적으로 둔감할 것이란 선입견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았지만, 일각에서는 오히려 찌올림 표현이 좋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군계일학에서 만든 오동나무 소재인 자연지용 오월이 찌를 예로 들면,,
이 회사의 모든 제품은 스위벨 채비로 운용하는 것을 지향하는 것만 보아도..
오동나무 찌를 양어장에서 사용하든,
채비 역시 외봉돌 채비든 분할 봉돌 채비든 아무 상관없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오월이나 오월이슬림 찌를 양어장에서 사용했을 때..
나노찌 소재로 만든 찌와 비교해도 찌올림 표현이나 조과에 아무런 차이점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오히려 내구성이 좋고, 찌 표현이 다소 여유로운(?) 느낌이 있어 더 좋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어차피 찌를 올려주는 것은 붕어니까..
채비와 소품은 그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해서, 편하게 잘 사용하면 그만 아닐까요?